전체 글
-
예금취급기관의 종류와 그에 따르는 규제와 금융감독은? - 금융 심화 ⑦금융이론 2025. 3. 23. 19:50
이번 편부터는 금융기관별로 종류와 규제, 금융감독 방식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우선 이번 편에서는 우리가 가장 흔히 알고 있는 예금취급기관인 은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우리가 말하는 은행은 일반적으로 상업은행을 말하는데 예금을 받아 대출이나 어음할인 등 단기적인 상업자금을 공급하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반은행(commercial bank)과 특수은행(specialized bank)으로 나뉘는데 일반은행은 '은행법'에 의해 설립된 것이고, 특수은행은 각 설립근거법을 갖고 있다. 1. 일반은행일반은행은 전국을 영업망으로 하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외국은행 국내지점으로 구분된다. 시중은행은 우리가 흔히 보는 신한은행, 국민은행과 같이 서울에 본점을 두고 전국에 영업망을 가진 은행이고, 지방은행은 ..
-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제 - 금융 심화 ⑥금융이론 2025. 3. 23. 15:09
이번 편에서는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운용체계인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해 알아보자.과거에는 통화정책도 재정정책처럼 실물경제의 지표인 물가안정, 완전고용, 경제성장, 국제수지균형 등을 최종 목표로 관리하여 왔으나, 1990년 이후로는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를 물가안정으로 하는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하는 국가들이 많아졌다. 우리나라도 1998년 이전까지는 중간목표제를 시행하다가 '한국은행법'을 개정하면서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한 국가가 되었다. 과거의 중간목표제(intermediate target)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의 물가안정목표제(inflation targeting)에 대해 살펴보자.1. 중간목표제중간목표제는 통화정책의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경제변수(통화량, 금리, 환율 등)를 중간목표로 선정한 후..
-
한국은행의 금융 감독 역할과 통화 경로 - 금융 심화 ⑤금융이론 2025. 3. 23. 09:52
이번 편에서는 한국은행의 금융감독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고 통화정책은 어떤 경로로 파급되는지 알아보자.금융회사에 대한 감독권한을 한국은행이 가져야 할지, 아니면 정부가 가져야 할 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이슈가 되어 왔다. 한국은행이 감독기능을 가질 때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자.1. 중앙은행의 금융감독기능 중앙은행은 앞서 편에서 봤던 거처럼 통화정책을 수행하는데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의 전달경로인 금융회사에 대한 감독이 꼭 필요하다. 또한 지급결제제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앙은행의 금융감독기능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들의 지급결제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상태에 처할 수 있는데 이를 중앙은행이 긴급 유동성 지원을 해주는 여수신제도(자금조정대출, 금융중개지원대출, 일중당좌대출)가 ..
-
한국은행의 설립과 통화 정책 - 금융 심화 ④금융이론 2025. 3. 22. 19:41
이번 편에서는 금융기관으로서 가장 중요한 중앙은행인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자.한국은행법 제1조(목적)에 따라 한국은행은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011년 8월 한국은행법을 개정할 때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할 때에는 금융안정에 유의해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한국은행의 설립목적에 금융안정기능이 추가되었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과 금융감독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한국은행의 설립과 변화한국은행은 설립 당시 미국연방준비제도를 모방하여 강한 독립성이 가진 조직으로 시작하였다. 금융통화위원회는 금융기관에 대해 모든 감독권을 행사하였고 외환정책도 수행하였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 한국은행법이 개정되..
-
Capital Structure와 관련한 Stewart C.Myers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①재무이론 2025. 3. 22. 16:17
이번 편부터는 재무관리 논문에 대해 쉽게 설명하는 글을 올리고자 한다. 이번 편은 기업의 자본구조와 관련한 유명한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이 논문의 저자인 스튜어트 C. 마이어스(Stewart C. Myers)는 현대 재무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한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재무학자이다. 현재는 MIT슬론경영대학원(Sloan School of Management)에서 오랜 기간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자본구조와 관련하여 유명한 논문을 여러 편 발표하였다. 스튜어트 마이어스는 자본구조(capital structure), 기업 재무이론(corporate finance theory), 기업의 투자 결정 및 자금 조달과 관련된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자금조달 순위 이론 (Pecking Ord..
-
금융기관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할까? - 금융 심화 ③금융이론 2025. 3. 18. 15:11
이번 편에서는 우리가 알아야 할 주요 금융기관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금융기관은 돈의 흐름을 관리하고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한다. 개인은 노동을 통해 소득을 얻고 소비를 하며 저축은 은행에 하거나, 주식 투자 등 투자를 하면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데 이러한 개인의 자금을 예치하여 이자를 지급하거나 투자상품을 판매하고 또한 이렇게 조달된 자금을 기업에 대출하거나 자금을 융통해 주는 것을 금융기관들이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시장경제가 돈이 흐르면서 경제성장을 하는 구조이다. 우리가 금융기관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역시 은행일 것이다. 은행 외에도 금융기관으로는 보험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사, 연기금, 증권거래소 등 다양하게 각 영역에서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의 특징과 운영 방식은? - 금융 심화 ②금융이론 2025. 3. 17. 22:32
금융회사는 일반회사와 다르게 특정인 또는 특정회사가 대주주로서 경영권 행사를 하는 구조가 아닌 독특한 형태를 가진다. 이는 금융회사의 특수성에 기반하며 소유와 지배구조가 일반회사랑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이번 편에서는 왜 금융회사는 일반회사와 운영방식의 차이가 있는지와 어떤 형태로 운영이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자. 1.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특징 금융회사는 일반 기업과는 다른 특수성을 갖고 있는데 가장 큰 차이점은 자금조달구조이다. 예를 들어 은행은 예금자로부터 예금을 예치받아 자금을 조달하므로 부채비율(예금은 은행입장에서는 부채이므로)이 일반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다. 높은 부채기업일수록 그 레버리지 효과로 위험한 사업을 통해 높은 수익을 추구함으로써 주식가치 상승은 은행이 가져가고 위험한 사업으로..
-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은 왜 분리되어야 하는가? - 금융 심화 ①금융이론 2025. 3. 16. 10:39
이번 편부터는 금융이론을 기초로 한 단계 심화된 논의를 하고자 한다. 금융산업은 경제에 매우 중요하므로 많은 규제와 보호장치를 갖고 있다. 또한 금융산업은 일반적인 산업과 다른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제한적인 경쟁구도가 생성되고 다른 산업과 혼합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도 존재한다.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은 분리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결합되어도 괜찮은가? '금산분리 원칙?' 이번 편에서의 그 논의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우리가 흔히 말하는 '금산분리'는 금융(은행, 증권, 보험업 등)과 산업(일반적인 제조업, 유통업, IT산업 등)을 분리해서 운영하자는 것이다. 이 제도의 핵심은 산업자본이 금융기관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이고 이는 대기업이 은행을 그들의 '사금고'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