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업연구원의 『202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핵심 정리
    경제상식 소개 2025. 8. 5. 08:46
    반응형

    2025년 하반기, 한국의 경제 주축인 13대 주력산업은 세계 경기 회복 지연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심화, 해외 생산 기지 확대라는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철강, 기계, 정유 등 전통 제조업은 내외수 부진에 따른 침체가 예상되는 반면,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바이오헬스 등 일부 IT·신산업 분야는 글로벌 수요 증가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주요 산업별 흐름을 정리하고, 한국 산업계가 마주한 과제와 전략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025년 하반기 산업전망

    1. 거시경제 및 글로벌 수요 변화

    2025년 하반기 글로벌 경제는 회복 지연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고관세 정책, 중국의 과잉생산 및 내수 둔화, 유럽의 구조조정 지연 등 복합적인 하방 리스크가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미국의 통상정책은 스마트폰, 자동차, 철강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한국 수출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CT 수요는 비교적 긍정적인 흐름이 예상됩니다. 생성형 AI 기술의 본격적 도입과 윈도우10 지원 종료, 폴더블폰 출시 확대 등으로 PC·서버·스마트폰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정책 변화와 중국과의 기술 경쟁이 여전히 불확실성으로 작용합니다. 지역별로 보면 미국은 자동차·철강에 대한 고관세와 경기 둔화로 부정적인 영향이 우세하나, 인프라 투자와 바이오 수요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유럽은 공급망 불안정이 문제지만, 일부 규제 완화와 누적 수요가 긍정적 요인입니다. 중국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지만 전기차, 스마트폰 등 일부 품목에서의 회복세가 돋보입니다. 인도 및 베트남 등 신흥국은 인프라 투자와 현지 생산 확대에 따른 수출 여건이 개선될 가능성이 큽니다.

    2. 산업별 수출 전망

    13대 산업 전체 수출은 2025년 하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 연간 기준으로는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별 흐름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 미국 고관세 본격화와 중국산 저가차의 글로벌 진출 가속화로 하반기 -11.4%, 연간 -8.0%로 큰 폭 감소가 예상
    • 조선업: LNG선 대량 인도와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출 호조로 하반기 +3.4%, 연간 +10.2% 증가 전망
    • 일반기계: 세계 경기 둔화 및 투자 지연으로 -7.2% 역성장 전망
    • 철강: 미국과 중국의 정책 변화 영향으로 -2.1% 감소 전망.
    • 정유: 저유가 영향과 수요 둔화로 연간 -19.3% 감소.
    • 석유화학: 수요 위축 및 단가 하락으로 -5.3% 감소.
    • 섬유: 국산 고가 제품은 수출 여건이 다소 개선되지만 -3.3% 감소 예상.
    • 반도체: HBM, DDR5 등 고부가 제품 덕분에 +5.8%, 사상 최대 수출 예상.
    • 정보통신기기: SSD와 AI PC 등 수요 확대로 +5.4% 성장 전망.
    • 가전: 해외 생산 확대와 소비 위축으로 -4.1% 감소.
    • 디스플레이: 수요 이연과 시장 전환기로 인해 -2.7% 감소.
    • 이차전지: 해외 현지 생산 확대로 인해 -3.2% 감소하나, 감소폭은 축소.
    • 바이오헬스: 톡신·신약 수출 호조로 +11.0% 성장 예상.

    3. 산업별 내수 동향

    하반기 내수는 상반기보다 다소 개선될 전망이나, 건설경기 부진과 투자 위축으로 전체 회복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자동차: 신차 출시와 내수 강화 전략으로 하반기 +2.1%, 연간 +3.5% 증가.
    • 조선: LNG선 인도 증가에도 불구하고 -12.1% 감소.
    • 일반기계: 건설 경기 둔화로 연간 -0.6% 내수 감소.
    • 철강: 수요 산업 부진으로 내수 -4.7%,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
    • 정유: 전방 수요 둔화로 -2.3% 감소.
    • 석유화학: 정부 부양책 영향으로 하반기 반등하나, 연간 -0.2%
    • 섬유: 0.7% 소폭 성장 예상되나 수입산 영향이 큼.
    • 반도체: 생산 조절로 인한 출하 감소로 -7.9% 감소.
    • 정보통신기기: AI 스마트폰·슬림폰 효과로 +1.5% 증가.
    • 이차전지: 감소세 지속되나 기저효과로 -2.6% 축소.
    • 바이오헬스: 보건정책 및 신약 효과로 +2.2% 증가 예상.

    4. 산업별 생산 흐름

    전반적으로 생산은 수출과 내수 부진, 해외 생산 이전 등으로 감소하는 업종이 많습니다.

    • 자동차: 미국 현지 생산 대체로 하반기 -4.4%, 연간 -4.3% 감소.
    • 조선: 상반기 +16.9% 증가에 이어 연간 +5.0% 성장.
    • 일반기계: 수출·내수 동반 부진으로 연간 -3.0%
    • 철강: 주요 수요산업 부진으로 -2.0% 감소.
    • 정유: 정제설비 보수적 가동으로 -3.1% 감소.
    • 석유화학: 하반기 스프레드 개선으로 +3.5% 증가하나 연간 -0.4%
    • 섬유: 첨단 소재 중심 확대에도 -1.8% 감소.
    • 반도체: 고부가 제품 생산 확대로 +4.9% 증가.
    • 정보통신기기: 수출 호조로 +4.8%
    • 가전: 국내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2.2% 감소.
    • 디스플레이: IT용 패널 수요로 +2.8% 증가.
    • 이차전지: 미국 생산 확대 여파로 -2.7% 감소.
    • 바이오헬스: 위탁 생산 증가와 신약 중심으로 +9.1% 생산 확대.

    5. 수입 시장 변화

    전반적으로 수입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첨단기술 분야는 증가세가 유지됩니다.

    • 자동차: 전기차 수입 증가에도 단가 하락으로 -0.5%
    • 조선: 기자재 국산화로 하반기 -9.6%, 연간 +6.7% 증가
    • 일반기계: 보합세(연간 +0.4%)
    • 철강: 내수 침체 및 반덤핑 영향으로 -8.7%
    • 정유: 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 단가 하락으로 -13.0%
    • 석유화학: 하반기 중국산 수입 확대 영향으로 +2.2%
    • 섬유: 해외 생산 역수입 확대, +1.4%
    • 정보통신기기: 소비심리 회복으로 +1.0%
    • 반도체: 연구개발용 수요 증가로 +4.8%
    • 이차전지: 중국 생산기지 수입 증가로 -0.5% 감소에 그침.
    • 바이오헬스: 고환율과 원료공급 차질로 -3.7% 감소.

    6. 산업별 종합 분석 및 시사점

    2025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은 산업 구조적 재편과 글로벌 환경 변화의 복합적 영향권에 놓여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고관세 정책 본격화는 단순한 수출 감소를 넘어서 국내 생산기지의 전략적 입지 약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기술경쟁도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이 절실합니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반도체, 바이오, AI, 디스플레이 등 미래형 산업 투자 지속
    2. 공급망 재편 대응: 인도·베트남 등 신시장 개척, 현지 생산 네트워크 확보
    3. 탄소중립·디지털 전환 가속화: 조선, 철강, 정유 중심의 친환경 설비투자
    4. 내수 회복을 위한 소비 진작 정책 병행
    5.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생산 효율화 및 스마트화 지원

    한국의 13대 주력산업은 위기이자 전환기의 경계에 서 있습니다. 구조적 체질 개선과 미래지향적 투자를 통해 불확실성의 시대를 돌파해 나가야 할 시점입니다.

     

    핵심 요약

     

     

    산업 구분 수출 증가율 내수 증가율 생산 증가율 수입 증가율
    자동차 -8.0 +3.5 -4.3 -0.5
    조선 +10.2 -12.1 +5.0 +6.7
    일반기계 -7.2 -0.6 -3.0 +0.4
    철강 -2.1 -4.7 -2.0 -8.7
    정유 -19.3 -2.3 -3.1 -13.0
    석유화학 -5.3 -0.2 -0.4 +2.2
    섬유 -3.3 +0.7 -1.8 +1.4
    정보통신기기 +5.4 +1.5 +4.8 +1.0
    가전 -4.1 +0.4 -2.2 +2.9
    반도체 +5.8 -7.9 +4.9 +4.8
    디스플레이 -2.7 +0.1 +2.8 -19.4
    이차전지 -3.2 -2.6 -2.7 -0.5
    바이오헬스 +11.0 +2.2 +9.1 -3.7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