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⑦ - SK텔레콤(2025년 1분기 실적 기반)투자정보 소개 2025. 7. 5. 08:36반응형
이번 편에서는 대한민국 통신 시장의 절대 강자인 SK텔레콤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기업의 투자 매력을 심층 분석합니다. 단순한 실적 요약을 넘어, 사업 부문별 성장 동력, 현금흐름 및 재무 구조, 그리고 밸류에이션 분석을 통해 해당 기업의 내재가치를 평가해 보겠습니다.
1. 기업 개요
1.1 사업 성격 및 시장 지위
SK텔레콤은 국내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위 사업자로,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2021년 SK스퀘어와 인적분할을 통해 통신과 반도체 중심 투자 부문을 분리한 뒤, AI 중심 테크 기업으로의 전환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1.2 주요 사업 영역
기존 MNO(통신) 외에도 Enterprise(기업 솔루션), AIVERSE(AI+콘텐츠·커머스), Connected Intelligence(모빌리티, IoT) 등으로 사업을 확장 중입니다. 자회사로는 SK브로드밴드, 11번가, 웨이브, 티맵모빌리티, 드림어스컴퍼니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AI 및 플랫폼 전략과 연계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3 전략 방향성
'AI Pyramid'라는 3단 전략(Infra, Agent, Service)을 중심으로 AI 컴퍼니 전환에 집중하고 있으며, 슈퍼컴퓨터 기반의 AI 인프라, 통합 에이전트, AI 기반 서비스가 각기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2025년 1분기 실적 개요
2.1 실적 요약
2025년 1분기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매출 4조 3,426억 원, 영업이익 3,649억 원, 당기순이익 3,40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1.0% 감소하여 수익성이 다소 둔화되었습니다.
2.2 수익성 변화 원인
본업 수익성 둔화의 원인은 ▲AI 사업 확대에 따른 선행적 비용 증가, ▲커머스 사업 구조조정에 따른 일시적 마케팅비 상승, ▲콘텐츠 부문 정비 등으로 요약됩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반영 효과로 39.8% 급증하였습니다.
2.3 요약
전체적으로는 영업 기반보다는 비경상적 요인이 당기순이익 증가를 견인한 실적이며, 본업의 이익 회복 여부가 향후 실적 안정성을 결정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
3. 사업 부문별 성장모멘텀
3.1 MNO (통신사업)
- 5G 보급률이 전체 가입자의 약 67%를 돌파하면서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가 전년 대비 2.1% 상승
- 데이터 사용량 증대, 요금제 고도화, 고가 요금제 선택 비중 증가가 긍정적 영향
3.2 Enterprise (기업서비스)
- 매출은 4,34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
- IDC(데이터센터), 클라우드, AI 솔루션 수요 증가가 핵심, AI Infra와 맞물린 AI 클라우드 고도화 수요가 구조적 성장
3.3 AIVERSE (AI 기반 콘텐츠/커머스)
- 매출은 1,608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며, 이는 11번가와 드림어스컴퍼니의 리스펙처링이 원인
- 다만 향후 구독형 AI 에이전트와 결합한 커머스 플랫폼으로의 진화가 예정되어 있어 중장기 성장 잠재력은 유지
3.4 Connected Intelligence (모빌리티·IoT)
- 매출은 83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5% 증가
- 티맵 기반의 모빌리티 사업, IoT 기반 플랫폼의 확장이 주요 동력, AI 기반 교통정보 서비스로의 발전 가능성
4. 현금흐름 및 재무구조 분석
4.1 현금 및 자산 구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약 2.9조 원으로,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EBITDA는 1조 4천억 원 이상으로 견고한 현금창출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4.2 차입 및 레버리지 수준
총차입금은 약 7.6조 원이며, 부채비율은 약 120%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사로서의 설비투자 부담을 감안하면 양호한 수준입니다.
4.3 자사주 및 주주환원 정책
자사주 비율은 10.9%로, 향후 소각 또는 추가 매입 여력도 존재하며, 배당성향은 약 50% 수준으로 주주친화적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4.4 CapEx 전망
AI Infra 확대, 데이터센터 투자 증가에 따라 2025년부터 자본적 지출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한 현금흐름 변화가 향후 재무정책의 핵심 관전 포인트입니다.
5. 상대가치 평가
5.1 현재 주가 및 시가총액
- 주가(2025년 6월 말 기준): 약 51,000원
- 발행주식 수: 약 1.9억 주
- 시가총액 = 9.7조 원
5.2 PER 분석
- 2025년 순이익: 약 9,500억 원 추정
- 2025년 PER 계산 : 9.7조 ÷ 9,500억 = 10.2배
5.3 PER 비교
- 국내 통신업 평균 PER: 약 10.5~12배
- 글로벌 통신 대형사 PER: 약 9~11배
5.4 PER 해석
- SK텔레콤은 국내 평균과 유사하거나 소폭 할인된 PER 수준에 위치하며, 향후 AI 수익 본격화 시 멀티플 확대 전망
5.5 PBR분석
- 자기 자본(BPS): 약 64,000원
- PBR 계산: 51,000 ÷ 64,000 = 0.80배
5.6 PBR 해석
- 자산가치 대비 할인된 수준으로, 안정적인 ROE와 배당성향을 감안하면 저평가 국면
6. 절대가치 평가
- FCFE (2025년 추정): 8,000억 원
- 요구수익률(r): 9%
- 영구 성장률(g): 1.5%
- DCF = 8,000억 ×1.015 ÷ (9%-1.5%) = 10.8조 원
- 현재 시가총액: 9.7조 원
- 차이: 약 1.1조 원 (11% 저평가)
- DCF 해석 : 현재 SKT 주가는 보수적인 성장 가정하에서도 저평가 상태로 판단
7. 투자 리스크 및 기회 요인
7.1 리스크 요인
- AI·IDC 중심 선제 투자 회수 기간 장기화 가능성
- 커머스 및 콘텐츠 부문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단기 비용 부담
- 고금리 환경 지속 시 이자 비용 확대 우려
7.2 기회 요인
- 데이터센터 및 AI 수요 증가에 따른 엔터프라이즈 수익 확대
- 통신 기반 ARPU 상승세 지속으로 안정성 강화
- 자사주 소각·배당 확대로 주주환원 가능성 강화
- AI 기반 Agent 구독 모델 정착 시 플랫폼화 가속 기대
8. 투자의견
- SK텔레콤은 전통 통신사에서 AI 및 디지털 인프라 중심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성장형 가치주
- 2025년은 투자 확대기에 해당하므로 단기 수익성에 대한 부담은 존재
- 중장기적으로는 구조적 이익 레벨업이 가능한 시기로 판단
- 종합 투자의견: 중장기적 비중확대 추천
반응형'투자정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가치평가 시리즈 - ①] 가치평가 기초 "왜, 어떻게 평가하는가?" (0) 2025.07.11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⑥ - 한화오션(2025년 1분기 실적 기반) (0) 2025.07.04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⑤ - LIG넥스원(2025년 1분기 실적 기반) (3) 2025.07.03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④ - 현대로템(2025년 1분기 실적 기반) (2) 2025.07.02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③ - 한화솔루션(2025년 1분기 실적 기반) (0) 2025.07.01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② - HD현대중공업(2025년 1분기 실적 기반) (2) 2025.06.30 국내 성장주/가치주 주식가치 평가 ① - APR코퍼레이션(2025년 1분기 실적 기반) (9) 2025.06.29 국내 시가총액 상위기업 주식가치 평가 ⑩ - LG생활건강(2025년 1분기 실적 기준) (2)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