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Oligopoly and Financial Structure: The Limited Liability Effect 논문 소개재무논문 소개 2025. 4. 27. 10:33
기업이 금융구조를 설계할 때 단순히 비용·세제 혜택만 고려하지 않고, 자사의 경쟁전략으로서 부채를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이번 편에서는 Brander와 Lewis(1986)의 “Oligopoly and Financial Structure: The Limited Liability Effect” 논문을 바탕으로, 과점 시장에서 레버리지가 어떻게 생산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드는지를 여섯 가지 핵심 명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제한책임효과의 이론적 배경부터 실제 정책·실무적 시사점까지, 금융과 제품 시장의 전략적 연계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1. 서 론현대 산업조직론에서는 전통적으로 제품시장 경쟁과 금융구조를 별개로 취급해 왔으나, Brander와 Lewis(1986)는 이 두 결..
-
AKR Invest 보고서 "Is AI truly disruptive?"의 파괴적 기술에 대하여투자정보 소개 2025. 4. 27. 07:04
인공지능(AI)이 단순한 차세대 기술을 넘어, 산업 전반을 뒤흔드는 진정한 ‘파괴적 기술(disruptive technology)’으로 자리매김한 비밀을 AKR Invest의 보고서 'Is AI truly disruptive?'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보고서는 가파른 비용 절감 곡선, 경계를 허무는 수평적 확산, 그리고 끝없는 혁신의 플랫폼으로서 AI가 어떻게 전통 메가테크 기업들의 전략을 흔들고 있는지 6개 핵심 포인트로 간결하게 정리했습니다. AI 혁신의 현재와 미래를 빠르게 파악하고 싶은 분들께 꼭 필요한 지식이 아닐까 합니다. 1. 서론: 파괴적 기술의 본질과 AI기술 혁신의 역사에서 ‘파괴적 기술(disruptive technology)’은 자원이나 규모 면에서 열세인 신생 기업이 기존 거..
-
ARK Invest의 “Big Ideas 2025” 보고서 소개 - 5가지 혁신 플랫폼투자정보 소개 2025. 4. 26. 14:10
2025년 현재, 세계 경제는 다섯 가지 혁신 플랫폼—인공지능(AI), 로보틱스, 에너지 저장, 퍼블릭 블록체인, 멀티오믹스(Multiomics)가 상호 융합하며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속도로 전환기를 맞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주 투자전문 자산운용사인 ARK 리포트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ARK Invest는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일으키는 기업들에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기업가치보다 미래 성장성에 투자하는 기업이죠. 특히 ARK가 투자하는 기업들은 안정된 수익이나 고배당기업이나, 저평가된 기업이 아니로 미래 성장성이 높다고 전망되는 성장주, 기술주 기업들입니다. ARK Invest는 팬데믹 시기에 ARKK로 연간 153%의 엄청난 수익률로 주목받았습니..
-
트럼프 행정부 경제방향으로 보이는 Stephen Miran 보고서 핵심정리경제상식 소개 2025. 4. 26. 10:05
최근 글로벌 무역 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면서, 미국 제조업의 경쟁력 회복과 무역·안보 간부담 공유를 위한 대대적 개편 욕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스티븐 미런(Stephen Miran)의 “A User’s Guide to Restructuring the Global Trading System”(2024)은 달러 과대평가, 관세·통화 정책, 금융시장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며 실질적 개편 방안을 제시합니다.이번 블로그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으로 보이는 스티븐 미런(Stephen Miran)의 핵심 주장인 “왜 지금 무역 시스템을 바꿔야 하는가”, “어떤 도구를 활용할 것인가”, “부작용은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달러 과대평가(Triffin 세계)와 그 경제적..
-
Greenwashing, Carbon Emission, and ESG 논문 소개재무논문 소개 2025. 4. 25. 21:32
"ESG 점수는 정말 친환경 기업을 가려낼 수 있을까?"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전 세계 투자자와 소비자들은 ‘환경에 책임 있는 기업’을 더욱 선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의 환경책임,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를 평가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가 투자 의사결정의 핵심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연 ESG 점수가 높은 기업이 실제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하고 있을까? 아니면 단지 이미지와 마케팅을 위한 ‘그린워싱(Greenwashing)’일까?2024년 발표된 Treepongkaruna 외 4인의 논문 Greenwashing, Carbon Emission, and ESG는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저자들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 상장기업의 ESG..
-
Financialization of South Korean non-financial firms 논문 소개재무논문 소개 2025. 4. 25. 08:12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연구개발이나 설비투자보다 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에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재무 전략의 변화가 아니라, 기업 경영이 점차 실물 생산보다 금융 수익에 의존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2022년 Journal of Post Keynesian Economics에 게재된 이 논문은 1994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국 비금융기업 데이터를 분석해, 금융화가 실제로 실물 투자와 R&D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계량적으로 검증한다. 연구는 자산에서 금융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이 장기적 성장 투자 위축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이 블로그 글에서는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형 금융화의 특징과 그로 인한 ..
-
Who’s Going Green and Why? Trends and Determinants of Green Investment 논문 소개재무논문 소개 2025. 4. 24. 19:39
기후 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색 투자(Green Investment)’는 국가 경제 전략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어떤 국가가 더 적극적으로 그린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을까? IMF(국제통화기금)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2011년 「Who’s Going Green and Why? Trends and Determinants of Green Investment」라는 제목의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35개국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난 10여 년간 녹색 투자 규모의 변화와 그 결정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헤쳤다. 특히 재생에너지 중심의 투자 확대가 어떻게 지역..
-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논문 소개재무논문 소개 2025. 4. 24. 11:48
인간은 왜 비합리적인 선택을 할까? – 전망이론으로 보는 우리의 심리일상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선택을 한다. 주식에 투자할 것인가, 보험에 가입할 것인가, 오늘 점심은 비싼 걸 먹을 것인가. 경제학자들은 오랫동안 우리가 이런 선택을 ‘합리적’으로 한다고 믿어왔다. 특히 기대효용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은 인간이 손익과 확률을 모두 고려해 최적의 결정을 내린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오랜 시간 동안 경제학, 금융학, 정책 설계의 핵심 토대가 되어 왔다.하지만, 정말 인간은 그렇게 냉철하고 이성적인 존재일까?1979년, 심리학자 Daniel Kahneman과 Amos Tversky는 전통 경제학의 이 전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한다. 바로 "Prospect The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