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nancial Intermediation and Delegated Monitoring에 관한 Douglas W. Diamond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③재무이론 2025. 3. 30. 12:52반응형
이번 편에서는 더글라스 W. 다이아몬드(Douglas W. Diamond)의 대표적 논문인 『금융 중개와 위임된 모니터링(Financial Intermediation and Delegated Monitoring)』(1984) 논문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이 논문은 은행과 같은 금융 중개기관이 존재하는 이유와, 차입자와 대출자 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이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글라스 W. 다이아몬드 교수는 미국의 경제학자로 현재 시카고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재무학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2022년 10월 다이아몬드교수는 벤 베넹키, 필립 H. 디비그와 함께 '은행과 금융위기에 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다이아몬드 교수의 논문중 가장 유명한 Financial Intermediation and Delegated Monitoring(1984) 논문에 대해 살펴보자.
1. 개 요
이 논문의 핵심은 '위임된 모니터링'이다. 금융 시장에서 차입자(예금을 빌리려고 하는 사람)는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해 대출해 주는 대출자(예금 맡긴 사람) 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다. 개별 대출자가 직접 차입자를 모니터링하고 감시하는 것은 비용이 높고 비효율적인데 이는 모니터링의 중복과 무임승차(Free Rider)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은행은 다수의 예금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다양한 차입자에게 대출하는 전문 중개기관의 역할을 갖는다. 은행은 예금자를 대신하여 차입자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규모의 경제(규모가 커질수록 비용은 절감)를 통해 모니터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다이아몬드는 이러한 환경에서 부채 계약(debt contract)이 자연스럽게 최적 계약으로 등장한다고 주장한다. 부채 계약은 차입자의 의무를 명확하게 정의하므로 시행과 모니터링이 간단하다. 이 계약 구조는 차입자의 행동을 검증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계약 조건을 위반한 차입자에게 파산과 같은 명확한 페널티를 부과함으로써 도적적 해이(moral hazard)를 감소시킨다.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은행의 자산 다각화(diversification)이다. 은행은 다수의 독립적인 차입자게에 자금을 분산 대출하므로 전체 채무 불이행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다각화를 통해 은행은 예금자에게 예치금의 상환 약속을 신뢰성 있게 담보하며,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인다. 다이아몬드는 이 과정에서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있다고 주장하는데, 즉 다각화된 대출 포트폴리오는 안전하지만 유동성이 떨어져 많은 예금자가 동시에 자금 인출 요구 시 유동성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유동성 위험 관리에 예금보험과 같은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이아몬드 논문은 금융 중개기관이 어떻게 정보 비대칭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지에 대해 논리적으로 밝혔으며, 다각화가 리스크 감소와 유동성 관리에서 가지는 이중적 상황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2. 부채 계약이 최적 계약으로 나타나는 이유
Diamond(1984)의 논문에 따르면, 금융시장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asymmetric information)으로 인해 차입자(기업)가 실제 성과를 정확하게 보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최적 계약의 형태가 중요해지는데, Diamond은 다음의 이유들로 인해 부채 계약(debt contract) 이 최적의 계약 형태임을 주장하였다.
(1) 명확한 계약 구조
부채 계약은 기업이 채권자(금융 중개기관)에게 사전에 약속한 원리금을 상환하는 단순하고 명확한 계약이다. 이 계약에서는 기업의 수익이나 성과를 복잡하게 분석할 필요 없이, 약속한 금액을 갚았는지 여부만 명확히 판단하면 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정보수집 및 검증 비용을 최소화하여 효율성을 높아진다.
(2) 기업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방지
기업이 약속된 금액을 지불하지 못할 경우, 명확한 벌칙(bankruptcy penalty)을 가하도록 계약이 설계되어 기업은 계약을 성실히 수행할 유인이 발생하고,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다.
(3) 효율적인 계약 집행
부채 계약은 기업이 계약 조건을 지키지 않았을 때만 모니터링과 처벌을 수행하도록 명확히 정해져 있어 금융 중개기관은 낮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감시(monitoring) 및 계약 집행을 할 수 있다.
3. 금융 중개 기관이 부채 계약을 통해 예금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는 과정
(1) 위임된 모니터링(delegated monitoring)의 수행
개별 예금자가 기업을 직접 감시하기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금융 중개 기관은 예금자를 대신해 기업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중개기관이 예금자들로부터 받은 예금을 기업에 대출해 주고, 그로부터 받은 상환금으로 예금자에게 약속한 금액을 지급한다.
(2) 자체적 계약 이행 동기(self-discipline)
금융 중개 기관이 기업으로부터 받은 자금을 예금자에게 약속한 만큼 지급하지 못하면, 금융 중개 기관 스스로가 명백한 계약 위반 상태가 되어 파산 등의 불이익을 받는다. 따라서 중개 기관은 스스로의 생존과 평판을 지키기 위해 기업에 대한 감시활동을 성실히 수행할 수밖에 없다.
(3) 자산 다각화를 통한 안정성 확보
금융 중개 기관이 여러 기업에 분산 투자할 경우, 한두 기업의 부도가 금융 중개 기관 전체의 파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를 통해 예금자는 금융 중개 기관이 안정적이며 신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다.
4. 금융 중개 기관의 자산 다각화로 인한 위임 비용 감소 이유
(1) 리스크의 감소
많은 기업에 자산을 분산 투자하면 각 기업의 사업 성과가 서로 독립적이므로, 한 기업의 실패가 전체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데, 이는 금융 중개 기관이 예금자에게 약속한 지급액을 상환하지 못할 위험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위임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2) 모니터링 비용의 효율적 관리
금융 중개 기관은 많은 기업들을 한꺼번에 감시하기 때문에, 기업별 모니터링 비용을 개별 예금자가 직접 감시할 때보다 크게 절약할 수 있다.
5. 다각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성 문제
(1) 자산의 비유동성
금융 중개 기관이 다수의 기업에 자금을 빌려줄 경우, 그 자산은 즉시 현금화하기 어렵다. 예금자들이 갑자기 많은 금액을 인출하려 할 때, 중개 기관이 보유한 자산(기업 대출금)을 즉시 회수하기 어려워 유동성 부족에 빠질 수 있다.
(2) 뱅크런(bank run)의 가능성 증가
금융 중개 기관이 비유동적인 자산에 과도하게 투자하면, 갑작스러운 인출 요구로 인해 현금을 충분히 준비하지 못할 경우 뱅크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개별적으로 안전한 자산이라도, 대규모 인출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유동성 준비금 및 예금 보험의 필요성
금융 중개 기관은 유동성 문제를 대비하여 별도의 유동성 준비금을 유지하거나, 정부의 예금보험과 같은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
6. 결론 및 종합적 요약
Diamond(1984)는 정보의 비대칭성 하에서 금융 중개 기관이 최적 계약 형태로 부채 계약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배분하고, 이를 통해 예금자에게 신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자산 다각화는 이러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위임 비용을 낮추는 핵심 전략이지만, 동시에 유동성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이 요구되는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금융 중개 기관의 역할과 한계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반응형'재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