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논문 소개
-
Monitoring and Reputation에 관한 Douglas Diamond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⑫재무논문 소개 2025. 4. 14. 21:14
이번 편에서는 은행을 통한 차입과 직접 채권을 통한 자금 조달에 사이에서 기업들이 어떤 선택을 하는지에 대한 Douglas Diamond 논문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논문은 채권 계약이 언제 대출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감시 없이 직접적으로 자금을 차입하는 방식(채권 발행)과 도덕적 해이를 완화하기 위해 감시를 수행하는 은행을 통한 차입 방식 중에서의 기업의 선택에 관한 것입니다. 이 연구는 은행 대출 수요에 대한 이론과, 차입자의 평판 효과가 중요한 상황에서 감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신용등급이 중간 수준에 위치한 차입자들은 은행 대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고금리나 미래 수익성이 낮은 시기에는 고신용 차입자들조차 은행 차입을 선택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
-
Competition and Financial Stability에 대한 Franklin Allen & Douglas Gale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⑪재무논문 소개 2025. 4. 13. 13:58
이번 편에서는 금융산업의 경쟁과 재무적 안정성에 관한 논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시장 경쟁이 많을수록 소비자 후생과 자원배분 효율성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금융 산업은 일반 산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Franklin Allen과 Douglas Gale(2004)은「Competition and Financial Stability」라는 논문에서 “경쟁이 효율성을 가져오지만, 동시에 금융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전통적 견해를 뛰어넘는 복잡한 현실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단순한 trade-off 개념이 현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경쟁이 반드시 금융 시스템을 취약하게 만든다는 가정은, 다양한 상황과 조건을 고려할 때 불완전하거나 오히려 잘못된 시사점을 줄 수 있..
-
Capital Asset Prices: A Theory of Market Equilibrium under Conditions of Risk에 관한 William F. Sharpe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⑩재무논문 소개 2025. 4. 13. 12:44
이번 편에서는 William F. Sharpe의 1964년 논문 「Capital Asset Prices: A Theory of Market Equilibrium under Conditions of Risk」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논문은 재무관리 교과서에 나오는 아주 유명하고, 고전적인 논문입니다. 이 논문은 위험이 존재하는 조건 하에서의 자본시장 균형에 대한 이론을 제시합니다. 이 이론은 각 투자자가 동일한 평가 기준(기대 수익률과 분산)을 바탕으로 투자 대안을 평가하고, 각자의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며, 동일한 미래에 대한 예상을 갖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시작합니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모든 투자자는 위험자산 중 하나의 공통된 최적 조합을 보유하고, 이 조합과 무위험 자산 간의 결합을 통해 개별적인 위험..
-
Agency Costs, Net Worth, and Business Fluctuations에 관한 Bernanke & Gertler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⑨재무논문 소개 2025. 4. 13. 12:10
대리인 비용(Agency costs)과 기업가치, 경기변동에 대한 논문 한 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논문은 차입자의 재무상태가 산출량의 변동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단순한 신고전파적 경기순환 모형을 제시한 논문이다. 차입자의 순자산이 높을수록 실물 자본 투자에 필요한 외부 자금 조달 시 발생하는 대리인 비용이 감소하고 경기가 확장되면 순자산이 증가하고 대리인 비용이 줄어들어 투자가 촉진되며, 이는 확장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경기 침체기에는 순자산 감소 → 대리인 비용 증가 → 투자 감소로 이어지며, 침체를 심화시키는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부채 디플레이션(debt-deflation)과 같은 순자산 충격이 실질적인 경기 변동을 초래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1. 서론: 순자산이 ..
-
Does Deposit Insurance Increase Banking Stability에 관한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⑧재무논문 소개 2025. 4. 12. 16:29
이번 편은 Demirgüç-Kunt & Detragiache (2002) 저자인 Does Deposit Insurance Increase Banking Stability? 에 대한 논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논문은 과연 예금보험제도는 은행의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합니다. 예금보험제도는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특히 뱅크런(bank run)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도입되어 왔다. 1934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OECD 국가를 포함한 수많은 국가들이 예금보험제도를 채택해 왔다. 1980년부터 1997년까지 61개국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 결과, 예금보험제도(deposit insurance)는 은행 위기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금리가 자유..
-
Liquidity Provision, Bank Capital and the Macroeconomy에 관한 Gary Gorton & Andrew Winton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⑦재무논문 소개 2025. 4. 12. 11:54
이번 편에서는 Gary Gorton과 Andrew Winton의 논문 중 'Liquidity Provision, Bank Capital and the Macroeconomy'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은행자본은 반드시 어딘가에서 조달되어야 하는데 은행 자본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1) 단기 부채가 줄거나 (2) 단기 부채 수준은 그대로 인대, 은행 시스템이 다른 곳으로부터 자기 자본을 조달했다는 뜻이다. 은행의 부채의 자본이 많아지면 은행 파산 가능성은 낮아지지만 반대로 대출 등 거래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은행 자본의 역할은 무엇이며, 왜 민간 부문과 사회 전체가 생각하는 최적 자본 수준이 다른가와 후생(wealth)을 극대화하려는 감독당국의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본 논문이다...
-
Banks as Liquidity Providers에 관한 Kashyap, Rajan, Stein의 논문 소개 - 재무 논문 ⑥재무논문 소개 2025. 4. 12. 09:55
이 논문은 'Banks as Liquidity Providers' 즉 유동성 공급자로서의 은행에 관한 Kashyap, Rajan, Stein의 논문이다. 은행의 전통적인 상업은행 활동인 예금 수취와 대출은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우리는 은행이 종종 대출 약정(loan commitments) 형태로 자금을 대출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두 가지 활동이 본질적으로 하나의 원초적인 기능, 즉 수요에 따른 유동성 제공의 두 가지 형태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금 인출과 대출 약정 실행이 완벽히 일치하지 않는다면, 두 활동은 대규모 유동 자산 보유의 비용을 공유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아이디어를 간단한 이론 모델로 발전시키고, 다양한 실증 데이터를 통해 그 모델을 검증했다. 1. 은행은 왜 ..
-
A Model of Shadow Banking에 대한 Gennaioli, Shleifer, Vishny의 논문 소개 - 재무 이론 ⑤재무논문 소개 2025. 4. 12. 09:32
이번 편에서 소개할 논문은 Shadow Banking, 즉 그림자 금융에 관한 논문이다. 이 논문은 그림자금융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 은행은 대출을 발행하고 거래하며, 이를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로 구성한 뒤, 이 포트폴리오를 무위험 부채를 통해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여 운용한다. 이 과정에서 외부 투자자의 부(Wealth)는 무위험 부채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며, 이는 간접적으로 증권화(securitization)에 대한 수요를 유도한다. 이 모델에서는 은행의 자산과 레버리지가 함께 증가하며, 시장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개별 위험(idiosyncratic risk)을 다각화를 통해 줄이는 대신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에 대한 노출은 증가하게 된다. 합리적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