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IS 연구보고서 「The Digitalization of Money」 소개 - 재무 이론 ⑳재무논문 소개 2025. 4. 20. 18:31반응형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는 결제와 금융의 전면적인 디지털 전환을 목격하고 있다. 전통적인 현금 사용은 빠르게 줄어들고, 모바일 결제, 전자지갑, 암호화폐 등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화폐’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화폐의 개념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세계적인 경제학자 Markus K. Brunnermeier, Harold James, Jean-Pierre Landau가 공동 집필한 BIS 연구보고서 「The Digitalization of Money」를 바탕으로, 디지털화폐가 어떻게 화폐 기능을 분리하거나 재결합시키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통화 경쟁, 플랫폼 경제, 국제통화질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 디지털화폐는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데이터 기반의 생태계와 통합되며 전례 없는 금융·정책적 도전을 야기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통화정책의 유효성까지 논의의 범위가 확장되는 지금, 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이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바라보아야 할지 생각해보자.1. 서론
디지털 혁명은 기존 화폐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전통적으로 통합되어 있던 화폐의 세 가지 기능(가치 저장, 교환 수단, 회계 단위)이 디지털화폐를 통해 분리(Unbundling)되고, 다양한 특화된 화폐 간 경쟁이 격화될 수 있다. 반대로, 대형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에서는 화폐 기능과 데이터 서비스가 함께 묶이면서(Rebundling),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은 줄어들고 플랫폼 간 차별화는 심화된다. 이러한 디지털화폐는 국가 경계를 넘어서는 디지털 통화권(Digital Currency Areas, DCAs) 형성을 유도하며, 특히 사회적·디지털적으로 연결된 국가들에서 디지털 달러라이제이션(digital dollarization)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공공화폐가 여전히 중요한 회계단위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수단이다.
2. 디지털 시대의 화폐 기능 분리(Unbundling)와 경쟁 구조의 재편
전통적인 화폐는 ‘가치 저장(store of value)’, ‘교환 수단(medium of exchange)’, ‘회계 단위(unit of account)’라는 세 가지 핵심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수행해왔다. 하지만 디지털화의 진전은 이 통합적 구조를 해체하고, 각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다수의 화폐가 공존하는 새로운 경쟁 환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화폐의 '기능 분리(Unbundling)'라고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는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특정 화폐의 기능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중 일부는 높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송금 기능으로 인해 교환 수단으로 특화되며, 반면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처럼 법정화폐에 연동된 화폐는 상대적으로 가치 저장 기능에 집중된다. 사용자는 이들을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은 이러한 선택을 더욱 용이하게 만든다.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설정만으로 자동화된 환율 변환과 즉각적인 전환이 가능해지면서, 전환비용(switching cost)은 극도로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이제는 사용자들이 단일 통화를 고집할 이유가 줄어들고, 기능별로 경쟁하는 화폐 생태계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기존의 중앙집중적 화폐 시스템이 갖는 독점적 지위에 의문을 던지며, 경제 전반에 걸쳐 보다 역동적인 화폐 경쟁 구도를 촉진시킨다. 이는 단지 금융 혁신의 문제가 아니라, 화폐를 둘러싼 권력의 분산이라는 구조적 전환을 의미한다.
3. 플랫폼 중심 화폐와 데이터 통합의 ‘재결합(Rebundling)’
디지털화는 기능 분리만 촉진하는 것이 아니다. 역설적으로, 대형 플랫폼은 다시 한 번 화폐 기능을 다양한 비금융 서비스와 함께 ‘재결합(Rebundling)’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들 플랫폼은 단순히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사용자 행동을 기반으로 신용평가, 소비 추천, 대출 심사, 보험 제공 등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를 통합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단순한 결제 서비스를 넘어서 ‘디지털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하였다. 알리페이는 결제 외에도 예적금 상품(예: Yu’e Bao), 신용평가 서비스(예: Sesame Credit), 보험 서비스, 소비자 대출을 연동시키며 금융의 수직적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소비, 대출, 보험, 투자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중심의 화폐는 그 자체로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만들어낸다. 사용자들은 편리성과 일관성,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이유로 특정 플랫폼의 화폐와 기능에 더 깊이 결합되고, 이는 다른 화폐나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든다. 동시에, 플랫폼은 결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데이터를 통해 알고리즘 개선, 맞춤형 마케팅, 리스크 관리 등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된다. 결국, 화폐는 더 이상 단순한 교환 수단이 아니라, 정보 권력의 핵심 자산이 된다. 그리고 이 정보는 다시 플랫폼의 금융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선순환을 만들며, 기존 금융기관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용자를 확대하고 있다.
4. 디지털 통화권(Digital Currency Areas)과 국제통화질서의 재편
기존의 통화권(currency area)은 주로 지리적·정치적 경계에 따라 구분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네트워크의 확산은 이런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경제 블록, 즉 **디지털 통화권(Digital Currency Area, DCA)**의 탄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DCA란 하나의 디지털 플랫폼 내에서 자체 화폐로 교환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중심의 경제권을 의미하며, 이는 국가나 법정화폐의 경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페이스북(메타)이 주도한 ‘리브라(Libra, 현재는 디엠 Diem)’ 프로젝트다. 리브라는 달러, 유로, 엔, 파운드 등 복수의 법정화폐를 기반으로 구성된 단일 단위의 디지털화폐로서, 자체 단위를 가지는 새로운 통화로 기능할 계획이었다. 이는 기존 국가 단위 통화 시스템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구조였다. 한편,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같은 사례는 독자적인 단위를 가지지 않더라도, 플랫폼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폐쇄형 디지털 통화 시스템을 통해 독자적인 통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간 거래는 플랫폼 내부에서만 가능하며, 외부 화폐로의 전환은 제한되거나 수수료가 부과된다. 이런 특성은 **교환수단의 기능은 있지만 단일 회계단위가 없는 ‘축소된 통화경쟁(reduced competition)’**의 사례다. 이러한 DCA가 국제적으로 확산되면, 특히 개도국이나 작은 경제권은 디지털 달러라이제이션(digital dollarization) 현상에 노출되기 쉽다. 이는 전통적인 미국 달러화 의존과 달리, 디지털 플랫폼 화폐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약화시키고, 각국 중앙은행의 역할을 축소시키며, 금융 주권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5. 결론
디지털화는 전통적 통화 시스템을 흔들고, 새로운 형태의 화폐 경쟁 환경을 만들고 있다. 화폐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각 기능에 특화된 디지털화폐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동시에 플랫폼 기반 디지털화폐는 기능을 다시 묶으면서 독자적인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제통화체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국가 경계를 넘는 디지털 통화권과 디지털 달러라이제이션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공 화폐의 역할, 데이터 규제,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화폐의 부상은 전통적인 화폐 개념과 통화정책의 프레임을 근본적으로 흔든다. 특히 플랫폼 중심의 화폐 흐름은 공공화폐의 역할을 축소시키며, 통화정책의 전파경로를 우회하게 만든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CBDC는 공공화폐가 디지털 환경에서도 중심적인 회계단위(unit of account)로 유지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반응형'재무논문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