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Qualys(나스닥: QLYS)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한 주식가치 평가
    투자정보 소개 2025. 5. 21. 21:13
    반응형

    이번 편에서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반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솔루션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Qualys(나스닥: QLYS)의 2025년 1분기 실적과 주식가치평가를 정리해 봅니다. Qualys는 1999년 설립 이후 IT 자산, 취약점, 위협 탐지, 규제 준수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며, 디지털 전환 시대의 보안과 리스크 관리를 위한 핵심 파트너로 성장해 왔습니다.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스터시티에 위치하고, 10,000여 개가 넘는 글로벌 고객을 기반으로 72%의 Forbes Global 50 기업을 포함한 탄탄한 고객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Qualys의 'Enterprise TruRisk Platform'은 하이브리드·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자산관리, 위협탐지, 취약점 관리, 자동화된 리스크 대응까지 아우르는 통합 보안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전환과 스택 통합 트렌드에서 독보적 위치를 확보 중입니다. Qualys(나스닥: QLYS)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한 주식가치 평가를 소개하겠습니다.

    QUALYS_주식가치평가

    1. 2025년 1분기 실적 개요

    (1) 매출 및 성장률

    • Qualys의 2025년 1분기 매출은 1억 5,99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
    • 매출 성장은 주력 제품군인 Enterprise TruRisk Platform의 고객 기반 확대와 기존 고객의 추가 구독 확장 때문

    (2) 수익성 지표

    • 매출총이익은 1억 3,097만 달러이며, 매출 총 이익률(Gross Margin)은 81.9%를 기록
    • 이는 전년 동기의 81.3% 대비 소폭 개선된 수치로, Qualys의 효율적인 비용 구조와 SaaS 중심의 고마진 사업구조 때문
    • 조정 EBITDA(Adjusted EBITDA)는 7,480만 달러로 EBITDA 마진은 47%로 유지

    (3) 영업이익 및 비용 관리 현황

    • Qualys의 2025년 1분기 영업이익(Operating Income)은 5,17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
    • 연구개발비(R&D)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2,915만 달러를 기록
    • 영업 및 마케팅 비용은 고객 기반 확대 및 채널 강화에 따라 3,266만 달러로 증가
    • 일반 관리비(G&A)는 1,740만 달러로 전년 수준과 유사하게 관리

    2. 부문별 성장 모멘텀 

    (1) 자산 관리(Asset Management) 부문

    • 자산 관리 부문은 지속적인 고객 기반 확대와 기존 고객의 서비스 업그레이드에 힘입어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기록
    • 특히, 모든 IT 자산의 내외부적 가시성을 제공하는 CyberSecurity Asset Management 솔루션의 채택이 증가
    • CMDB(구성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ITSM(IT 서비스 관리) 솔루션과의 연계를 통해 고객의 기대 충족

    (2) 취약점 관리 및 대응(VMDR: Vulnerability Management, Detection, Response) 부문

    •  TruRisk 기반의 취약점 정량화 및 우선순위화 솔루션은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사이버 리스크를 평가하고 관리하도록 지원
    • ITSM 도구와의 통합을 통한 신속한 위협 탐지와 자동화된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고객의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에 기여

    (3) 위협 탐지 및 대응(Threat Detection and Response) 부문

    • Qualys는 위협 탐지 부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행동 기반 AI/ML 안티바이러스 기술을 활용한 위협 탐지 기능 강화
    • 특히 제로데이 공격 및 랜섬웨어 대응 기능의 확장으로 시장의 높은 평가
    • VM(취약점 관리), 패치 관리, 엔드포인트 보안을 통합한 통합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종합적 보안 관리 요구에 부응

    (4) 클라우드 보안(TotalCloud: CNAPP) 부문

    • 클라우드 환경에 특화된 TotalCloud(CNAPP) 솔루션을 출시하여 고객의 멀티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 보안 요구에 대응
    • 특히 클라우드 기반 보안 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라 해당 부문에서 높은 매출 증가를 기록 중

    (5) 리스크 평가 및 관리(Enterprise TruRisk Management) 부문

    • 기업 전체 공격 표면을 통합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기업이 보안 위협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 AI 기반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비즈니스 컨텍스트 기반의 리스크 정량화 기능을 고도화하여 고객의 효율적인 리스크 대응
    • 특히 최근 금융기관, 글로벌 대기업 고객 등 규제 준수가 필수적인 분야에서 이 솔루션에 대한 높은 수요 증가

    (6) 파트너 채널 및 글로벌 사업 확대 전략

    • 전체 매출의 약 49%를 파트너를 통해 창출하고 있으며, MSSP(Managed Security Service Provider), 리셀러, 컨설팅 업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형태의 파트너와 전략적 제휴를 확대 중
    • 글로벌 시장에서는 특히 유럽과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신규 고객 확보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지화된 전략과 지역 특화 솔루션을 바탕으로 안정적 매출 성장을 기록 중

    (7) 기술 개발 및 R&D 투자 확대

    • 보안 분석(Security Analytics), AI 및 머신러닝(ML)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
    • 플랫폼 확장과 신규 솔루션 개발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

    3. 현금흐름 분석

    (1)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25년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1억 965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약 28.2% 증가
    • 이 같은 성과는 회사의 높은 수익성과 효율적인 운전자본 관리 덕분
    • Qualys는 SaaS 기반의 구독형 사업 구조 특성상 안정적인 현금 유입 구조를 가지고 있어, 향후에도 지속적인 현금 창출 기대

    (2)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25년 1분기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순 유출 703만 달러를 기록
    • 자본적 지출(CAPEX)은 200만 달러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대부분은 IT 인프라 확장과 플랫폼 운영 위한 설비 투자에 사용

    (3)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25년 1분기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순 유출 4,407만 달러를 기록
    • 주요 유출 항목은 자사주 매입으로, 분기 중 총 3,965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
    • Qualys는 부채 의존도가 매우 낮은 재무 구조를 유지하며, 재무적 안정성을 견고히 유지

    4. 상대가치 평가

    (1) EV/EBITDA 배수 비교

    • 2025년 예상 EBITDA 마진은 약 47%로, 이는 경쟁사 평균 EBITDA 마진(약 25%) 대비 현저히 높은 수준
    •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높은 운영 레버리지를 보유한 기업
    • EBITDA 배수 프리미엄은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경우 프리미엄이 유지될 전망

    (2) P/E(주가수익비율) 배수

    • 2025년 예상 주당순이익(EPS)은 1분기 실적을 고려할 때 견조한 증가가 예상
    • 현재의 주가수익비율(P/E) 배수 역시 경쟁사 평균 대비 프리미엄이 형성

    (3) 해석 

    • Qualys는 동종 기업 대비 EV/Sales, EV/EBITDA, P/E 등 주요 밸류에이션 지표 전반에서 프리미엄을 기록
    • 높은 수익성, 안정적인 현금흐름, 우수한 고객 기반,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성에 따른 정당한 평가로 판단

    5. 절대가치 평가

    (1) 주요 가정

    • 할인율(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 : 10.0%
    • 장기 성장률(Terminal Growth Rate) : 3.0%

    (2) DCF(Discounted Cash Flow)

     

    • 2025년 FCF: $250M  ~ 2029년 FCF: $368M
    • 할인현재가치(PV) 계산 = 1,018M
    • 말기 가치(Terminal Value) = FCF2009 × (1+g) ÷ (WACC-g) = $1,554M
    • EV = PV(FCF)+PV(TV) 1,018M+1,554M=2,572M
    • 순부채(Net Debt) : –$350M (순현금 구조)
    • 순자산가치(Equity Value) = EV – Net Debt = $2,572M + $350M = $2,922M
    • 발행주식수: 36.4M 주
    • 주당 내재가치 ≈ $2,922M ÷ 36.4M 주 ≈ $80.3

    (3) DDM(Dividend Discount Model)

    • 가정: FCF의 30%를 배당으로 전환, 할인율 10%, 영구 성장률 3%
    • 배당 초년도(2025년 예상): $250M × 30% = $75M
    • DDM 가치 : D1 ÷ (r-g) = 75 ÷ (0.1-0.03) = ≈$1,071M  
    • 주당 내재가치 : $1,071M ÷ 36.4M주 ≈ $29.4

    (4) 해석

    • DCF 모델 기반으로 산출된 주당 내재가치는 약 $80로, 현 주가(≈$199) 대비 할인된 수준
    • 순현금 구조와 높은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면 보수적 가정에 따른 평가로 판단

    6. 투자 리스크

    (1) 산업 및 경쟁 환경 관련 리스크

    • 경쟁 심화: 클라우드 보안, 취약점 관리, 위협 탐지 등 Qualys가 속한 시장은 Rapid7, Tenable, CrowdStrike, Palo Alto Networks 등 다수의 경쟁사들이 존재한다. 경쟁사들의 기술 고도화 및 가격 경쟁이 심화될 경우, Qualys의 시장점유율 및 마진율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 시장 포화 위험: 북미 및 유럽 주요 시장에서는 보안 솔루션 도입이 일정 수준 이상 진척된 상태로, 신규 고객 확보가 점차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 기술 트렌드 변화 대응 부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제로트러스트, AI 기반 보안 등 기술 트렌드가 빠르게 진화하는 상황에서,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기술적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2) 제품 및 운영 관련 리스크

    • 제품 결함 또는 보안 사고 발생 시 평판 리스크: 보안 솔루션 기업의 특성상, 자사 제품에 취약점이 발견되거나 보안 사고가 발생할 경우, 브랜드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고 고객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 플랫폼 통합 및 확장성 한계: Enterprise TruRisk Platform은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통합하고 있지만, 고객의 복잡한 IT 환경에 따라 적용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성능 이슈가 발생할 경우 고객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다.
    • 장기계약 비중에 따른 갱신 리스크: 고객 대부분이 연 단위 구독을 기반으로 하므로, 계약 갱신율(Renewal Rate)이 하락하거나 중도 해지율이 상승할 경우 매출 가시성이 낮아질 수 있다.

    (3) 거시경제 및 정책 환경 관련 리스크

    • IT 예산 감축 가능성: 경기 둔화, 금리 인상,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기업들의 IT 투자 및 보안 예산이 축소될 경우 신규 수주 및 업셀링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
    • 환율 변동성 리스크: 전체 매출의 43%가 해외에서 발생하므로, 유로화, 파운드화, 루피화 등 외화 환율 변동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환차손 발생 시 수익성에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 국가별 보안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강화: 유럽 GDPR, 미국 CISA 규정 등 지역별 보안/개인정보 관련 규제 변화에 따라 제품 대응력이 요구되며, 적절한 인증 획득 실패 시 고객 확보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4) 재무 및 자본시장 관련 리스크

    • 높은 밸류에이션에 따른 가격 조정 위험: Qualys는 상대적으로 높은 EV/EBITDA 및 P/E 배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시장금리 상승, 업종 리레이팅 발생 시 주가 하락 리스크가 존재한다.
    • 자사주 매입 중심의 자본배분 전략 한계: 배당이 없고, 자사주 매입 중심의 자본환원이 지속될 경우 일부 장기 투자자 관점에서는 제한적 매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내재가치 대비 주가 괴리 우려: 절대가치 평가(DCF) 기준 주당 내재가치와 현재 시장가격 간의 괴리가 클 경우, 밸류 갭을 해소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7. 투자 기회 요인 분석

    (1) 클라우드 보안 시장의 구조적 성장

    • 클라우드 전환 및 멀티클라우드 환경 확대에 따라 보안의 필요성과 복잡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Qualys는 클라우드 환경에 특화된 TotalCloud 설루션과 CNAPP, EDR 통합 대응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해당 수요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에 있다.
    • 제로트러스트, 위협 탐지 자동화, AI 기반 보안 분석 등 트렌드에서 선도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차세대 보안 시장 주도 가능성이 높다.

    (2) 고성장 구독형 모델 기반 수익 안정성

    • 구독 기반 매출 비중이 95% 이상으로 매우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고객당 평균 수익(ARPU) 증가 및 갱신율 상승을 통해 지속적인 수익 성장 여력이 크다.
    • 전 세계 1만 개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고, 특히 Forbes Global 50의 72%를 포함한 글로벌 대형 고객 비중이 높아 장기적 고객 충성도와 매출 안정성이 높다.

    (3) 현금창출력 및 자본 활용 유연성

    • 2025년 1분기 Free Cash Flow 마진이 67%에 달할 정도로 높은 현금창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순현금(Net Cash) 상태 유지로 재무적 유연성이 매우 우수하다.
    • 풍부한 현금을 활용한 자사주 매입, M&A, 기술 투자 여력이 충분하여 장기 성장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4)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 네트워크 확대

    • 북미 외 유럽, 아시아태평양, 중남미 시장에서도 성장세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현지화된 서비스와 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신규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 MSSP, VAR(리셀러),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 등과의 전략적 제휴 확대를 통해 기존 직접 판매(Direct Sales) 채널의 한계를 보완하고 매출 기반을 다변화할 수 있다.

    8. 투자 의견

    • Qualys는 클라우드 보안과 사이버 리스크 관리 분야에서 확고한 기술력과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갖춘 기업
    • 높은 수익성(EBITDA 마진 47%), 강력한 현금창출력(FCF 마진 67%)을 토대로 한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을 보유
    • 경쟁이 치열한 보안 시장에서 독자적인 Enterprise TruRisk Platform을 통해 제품 차별화에 성공
    • 멀티클라우드, 자동화 보안, AI 기반 위협 탐지 등 차세대 보안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
    • 다만, 경쟁 심화, 고객 갱신 리스크, 글로벌 규제 변화,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등은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요소
    • 중장기 관점에서 투자 매력이 충분한 종목으로 평가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