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금융투자회사는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할까 - 금융 심화 ⑫
    금융이론 2025. 4. 3. 17:49
    반응형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주식, 펀드, 채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통해 재테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은 복잡하고, 정보는 너무 많아 어떤 상품이 수익을 가져다 줄지, 어떤 상품이 위험한 것인지에 대해서 일반인들은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럴 때 우리의 자산을 보다 전문적으로 관리해 주는 곳이 있으니, 이곳이 바로 금융투자회사다. 그렇다면 금융투자회사는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금융투자회사의 기본 개념부터 종류와 기능까지 하나씩 알아보자.

    금융심화_12

    1. 금융투자업이란?

    금융투자업이란 '자본시장법'에 따른 금융상품을 매개로 하여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 신탁업을 말한다. 금융상품은 일반적으로 원금손실가능성이 있는 상품을 금융투자상품, 원금손실가능성이 없는 비금융투자상품으로 나뉘는데 이 중 원금까지만 손실가능한 것을 증권이라고 하며, 원금 이상의 손실이 가능한 자산을 파생상품이라고 한다. 

    2. 금융투자업의 종류

    (1) 투자매매업(dealing)

    투자매매업은 누구의 명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금융투자상품을 매도/매수, 증권을 발행하거나 인수(증권을 모집하는 경우 총액인수하거나 취득자가 없을 때는 잔액인수), 청약의 권유 등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모집은 일반적으로 50인 이상의 투자자에게 신주 발행되는 증권 취득의 청약을 권유하는 것인데 공개모집의 경우와 50인 미만의 투자자를 위한 사모(private placement)로 나뉜다. 

    (2) 투자중개업(brokering)

    투자중개업은 누구의 명의든지 타인의 계산으로 금융투자상품을 매도/매수, 발행·인수에 대한 청약의 권유 등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투자중개업은 타인의 계산으로 한다는 점에서 투자매매업과 구분되며, 위탁매매업무, 대리업무, 중개업무, 발행주선업무 등이 투자중개업이다. 증권회사는 흔히 중개인으로서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 증권회사의 주 역할은 투자중개업이라고 할 수 있다.

    (3) 집합투자업(collective investment services)

    집합투자업은 2인이상의 투자자에게 투자를 모집한 자금으로 투자자로부터 일상적인 운용지시를 받지 않고 자산을 취득, 처분, 운용하여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것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펀드가입을 통해 일정기간 펀드매니저를 통해 운용한 후 수익을 배분받는 것이다.

    (4) 신탁업(trust)

    신탁업은 재산의 소유자(위탁자)가 그 재산을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수탁자)에게 맡기고, 수탁자는 그 재산을 일정한 목적에 따라 관리·운용한 뒤 수익을 수익자에게 돌려주는 것으로 이런 신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비즈니스를 말한다. 보통 은행이나 금융회사가 신탁업 인가를 받아 운영한다.

    (5) 투자자문업(non-discretionary investment advisory)

    투자자문업은 금융투자상품의 투자판단에 관한 자문을 서비스하는 것으로 투자자가 자신의 재산을 금융투자업자에게 위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집합투자업이나 투자일임업과 차이가 있다. 

    (6) 투자일임업(discretionary investment advisory)

    투자일임업은 투자자로부터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판단을 위임받아 투자자별로 구분하여 자산을 취득, 처분, 운용하는 것을 영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투자자 재산이 위임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문업과 다르며, 투자자별로 구분하여 운용되는 점은 집합투자업과 다른 점이다. 

    3. 금융투자회사의 주요 종류와 역할

    (1) 증권회사(Broker-Dealer)

    가장 익숙한 금융투자회사 유형으로 우리가 주식 거래를 할 때 이용하는 대부분의 플랫폼이 증권회사다. 증권회사는 고객이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팔 수 있도록 중개업무를 하고 직접 회사 자금으로 투자하기도 한다. 물론 증권회사는 고객에게 투자방향을 제시하거나, 고객자산을 대신 운용하기도 한다. 미래에셋증권이나 삼성증권 등 '00 증권'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2) 자산운용사(Asset Management Company)

    자산운용사는 고객의 자산을 모아 펀드를 만들고 이를 운용하는 회사다. 자산운용사는 개별 투자자보다 더 큰 규모의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데 다양한 자산(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펀드를 조성하거나 운용하고, 연기금, 보험사 등 대규모 기관의 자산도 맡아 운용하기도 한다.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00자 산운용'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3) 투자은행(Investment Bank)

    투자은행은 주식시장 상장(IPO), 기업 인수합병(M&A), 채권발행 등 기업 재무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골드만삭스나 모건스탠리처럼 주식 상장 시 IPO를 주관하거나 기업 인수 합병을 설계하고 매각/매수 Deal에 참여하며 기업의 자금 조달 전략을 수립하는 회사다. 우리나라는 증권사들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데 미국은 '투자은행'으로 불리며, 상업은행이나 소매은행과 달리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금업무는 하지 않는 게 특징이다. 유럽의 은행은 대부분 투자은행이면서 상업은행인데 반해 미국은 1933년 Glass-Steagall Act(글라스-스티걸법) 이후 투자은행과 상업은행을 구분하다가 1990년 Gramm-Leach-Bliley Act이후 다시 투자은행과 상업은행을 겸업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나라는 은행과 증권사로 구분하여 개인을 상대로 한 은행과 기업금융을 수행하는 증권사를 구분하고 있다. 

    (4) 신탁회사

    고객의 자산을 일정한 목적에 맞게 보관하고 운용하는 회사로 상속이나 부동산 신탁과 같이 고객의 자산을 일정 조건하에 관리 운용하는 것을 영업으로 한다. 신탁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고객이 재산을 맡기면 이를 목적에 맞게 관리해 주면서 신탁수수료를 받는다. 위탁자로부터 수탁자에게로 소유권 이전을 하는 것이 특징이며, 보통 돈, 채권, 주식, 부동산 등 신탁의 종류가 다양하다. 보통은 은행, 증권사, 보험사가 신탁업을 겸영하나, 부동산신탁은 보통 전업신탁회사로 부동산의 명의, 대출, 자금흐름, 인허가 등 전문적 서비스가 가능한 인력을 보유한 것이 특징이다. 

    4. 금융투자회사의 필요성

    금융투자회사는 단순한 '중개인' 역할을 넘어 정보비대칭이 심한 금융시장에서 투자자에게 전문적인 분석, 효율적인 투자정보 공유를 통해 투자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금융투자회사는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게 하여 경제전반의 성장을 촉진하는 브릿지 역할을 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