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정보 소개
-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 핵심정리 - Chapter ⑤ "DCF 모델의 구조와 실제 적용 방법: 가치평가의 설계도 만들기"투자정보 소개 2025. 7. 21. 13:59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이런 질문을 자주 하게 됩니다. "이 기업의 주식은 지금 사도 될까?", "이 부동산의 진짜 가치는 얼마일까?", "이 스타트업은 미래에 크게 성장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논리적이고 정량적인 해답을 주는 도구가 바로 '가치평가'입니다.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아스와스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가치평가 전문가이며, 그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은 실무자와 학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지난 편에 이어 요약 정리한 것을 소개하겠습니다.1. DCF 모델의 개요DCF(현금흐름 할인법)는 가치평가의 핵심 도구다. 그러나 단순히 공식에 숫자를 대입한다고 해서 '정확한 가치'가 산출되는 것은 아니..
-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 핵심정리 - Chapter ④ "기업 가치의 핵심, 현금흐름 추정의 원리: FCFF와 FCFE"투자정보 소개 2025. 7. 20. 06:26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이런 질문을 자주 하게 됩니다. "이 기업의 주식은 지금 사도 될까?", "이 부동산의 진짜 가치는 얼마일까?", "이 스타트업은 미래에 크게 성장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논리적이고 정량적인 해답을 주는 도구가 바로 '가치평가'입니다.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아스와스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가치평가 전문가이며, 그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은 실무자와 학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지난 편에 이어 요약 정리한 것을 소개하겠습니다. 1. 서론: ‘수익’이 아닌 ‘현금’이 가치를 결정한다기업 가치평가의 중심에는 ‘현금흐름’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순이익(Net Income)이나 EBIT..
-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 핵심정리 - Chapter ③ "할인율의 핵심, 자본비용(Cost of Capital)의 정확한 추정법"투자정보 소개 2025. 7. 19. 07:41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이런 질문을 자주 하게 됩니다. "이 기업의 주식은 지금 사도 될까?", "이 부동산의 진짜 가치는 얼마일까?", "이 스타트업은 미래에 크게 성장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논리적이고 정량적인 해답을 주는 도구가 바로 '가치평가'입니다.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아스와스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가치평가 전문가이며, 그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은 실무자와 학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지난 편에 이어 요약 정리한 것을 소개하겠습니다. 1. 모든 가치평가는 할인율에서 시작된다DCF 가치평가의 가장 핵심적인 변수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할인율(discount rate)"이다. 아무리 정..
-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 핵심정리 - Chapter ② "기업가치를 측정하는 3가지 접근법: DCF, 상대가치, 청산가치"투자정보 소개 2025. 7. 18. 07:46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이런 질문을 자주 하게 됩니다. "이 기업의 주식은 지금 사도 될까?", "이 부동산의 진짜 가치는 얼마일까?", "이 스타트업은 미래에 크게 성장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논리적이고 정량적인 해답을 주는 도구가 바로 '가치평가'입니다.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아스와스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가치평가 전문가이며, 그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은 실무자와 학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지난 편에 이어 요약 정리한 것을 소개하겠습니다. 1. 가치평가의 다양성과 그 출발점가치평가는 단일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기업의 내재가치를 구하려는 투자자, 시장에서 가격 적정성을 따지는 분석가..
-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 핵심정리 - Chapter ① "왜 가치 평가를 배워야 하는가?"투자정보 소개 2025. 7. 17. 06:21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이런 질문을 자주 하게 됩니다. "이 기업의 주식은 지금 사도 될까?", "이 부동산의 진짜 가치는 얼마일까?", "이 스타트업은 미래에 크게 성장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해 논리적이고 정량적인 해답을 주는 도구가 바로 '가치평가'입니다.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의 아스와스 다모다란(Aswath Damodaran) 교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가치평가 전문가이며, 그의 저서 『Investment Valuation』은 실무자와 학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본 블로그 시리즈는 다모다란 교수의 이론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실무 중심으로 재정리했습니다.1. 가격이 아닌 ‘가치’를 보는 눈을 길러라 오늘도 수많은 투자자들이 뉴스를 보고, 차트를 분석하고,..
-
SK증권 리서치 보고서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 투자하는 법 - ②」 핵심정리투자정보 소개 2025. 7. 15. 07:57
금리, 물가, 성장률 같은 전통적 경제 지표들이 더 이상 투자 판단의 나침반이 되지 못하는 세상, 그 빈자리를 무엇으로 채워야 할까요? SK증권이 제시한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 투자하는 법」 2편에서는 무형자산 시대의 본질을 들여다보고, 그것이 어떻게 기업의 밸류에이션과 시장의 구조 자체를 뒤바꾸고 있는지 짚어봅니다.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브랜드, 플랫폼 생태계 같은 ‘보이지 않는 가치’를 읽는 능력이 새로운 투자 지표가 되고 있습니다.1. 자본주의 구조의 진화와 무형자산의 부상1.1 자본주의의 3단 진화산업화 시대의 자본주의(자본 중심), 정보화 시대의 자본주의(노동+기술 중심), 그리고 오늘날의 "지식자본주의"로의 진화 속에서 ‘무형자산’은 경제의 핵심 동력이 되었습니다. 유형자산에 기반한 산업은 성..
-
SK증권 리서치 보고서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 투자하는 법 - ①」 핵심정리투자정보 소개 2025. 7. 14. 08:19
투자의 세계는 더 이상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닙니다. 전통적인 투자 이론과 지표들이 점점 현실을 설명하지 못하고, 알 수 없는 불확실성이 커지는 지금, 우리는 ‘보이지 않는 세상’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SK증권의 리서치 보고서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 투자하는 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자의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무형자산, AI, 레버리지 시대의 변화까지 우리가 무엇을 믿고, 어디에 주목해야 할지를 생각해 봅시다.1. 전통적 투자 방식의 한계1.1 Anchoring Bias와 코로나19의 교차점코로나19는 단지 팬데믹 이상의 의미를 지녔습니다. 시장은 바이러스 그 자체보다 예측 불가능한 충격에 더 크게 반응했습니다. 분석가들은 이..
-
[기업가치평가 시리즈 - ③] Multiple Valuation의 실제: 시장을 기준으로 가치를 읽는 법투자정보 소개 2025. 7. 13. 07:33
기업을 평가한다는 것은 단순히 재무제표를 해석하는 것을 넘어, 미래를 예측하고 시장과 대화하는 일입니다. 투자자, 경영자, 금융기관 모두에게 중요한 이 작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 절차와 적용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익혀야 합니다. 이번 시리즈는 총 3편에 걸쳐 기업가치평가의 핵심을 단계별로, 실무적으로, 논리적으로 정리합니다. 3편에서는 상대가치평가 방식인 Multiple을 중심으로, EV/EBITDA, PER 등 다양한 배수의 적용법과 유의사항, DCF와의 비교를 다룹니다. 이 시리즈는 단순히 이론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거나 투자 판단을 내려야 하는 사람이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업 실무자, 투자자, 재무담당자, 그리고 기업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