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
-
KDI보고서 "CBDC 기반 은행산업 구조개편의 효과와 한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핵심정리경제상식 소개 2025. 5. 2. 19:42
디지털 금융혁신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는 모바일 뱅킹과 온라인 예금중개가 초래한 ‘디지털 뱅크런’ 위험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과연 뱅크런을 완전히 제거하면서도 자금중개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해법은 없는 것일까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CBDC 기반 은행산업 구조개편” 이론 분석 보고서를 바탕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활용한 ‘예금의 중앙집중화’와 ‘대출의 분산경쟁화’ 방안의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1. 금융혁신과 뱅크런의 딜레마 상세 분석스마트폰 보급률이 90%를 넘어선 오늘날, 모바일 뱅킹은 단순 조회·이체를 넘어 투자·대출·외환거래 등 모든 금융 서비스를 손 안에서 구현합니다. 이러한 혁신은 이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했지만, ..
-
BIS 연구보고서 「The Digitalization of Money」 소개 - 재무 이론 ⑳재무논문 소개 2025. 4. 20. 18:31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는 결제와 금융의 전면적인 디지털 전환을 목격하고 있다. 전통적인 현금 사용은 빠르게 줄어들고, 모바일 결제, 전자지갑, 암호화폐 등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화폐’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화폐의 개념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이 글은 세계적인 경제학자 Markus K. Brunnermeier, Harold James, Jean-Pierre Landau가 공동 집필한 BIS 연구보고서 「The Digitalization of Money」를 바탕으로, 디지털화폐가 어떻게 화폐 기능을 분리하거나 재결합시키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통화 경쟁, 플랫폼 경제, 국제통화질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깊이 있게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