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이슈노트
-
한국은행 2025년 6월 18일 발간 이슈노트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 및 시사점」 핵심 정리경제상식 소개 2025. 6. 20. 07:07
지금은 높은 물가가 일상이 되었습니다. 유독 식료품, 의류, 주거비 등 ‘필수품목’은 비싸게 느껴지고, 반면 전기·가스·교통 같은 공공요금은 놀랍도록 저렴한 수준이죠. 우리나라 물가의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이 발간한 이슈노트 제2024-14호는 이 같은 가격 구조의 원인을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국제비교를 통해 그 위치를 점검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해당 보고서를 토대로 한국의 물가 수준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으며, 왜 개선이 필요한지를 심도 있게 소개하겠습니다. 1.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 그러나 체감 물가는 여전1.1 수치상 안정과 실제 인식의 괴리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5월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비교적 안정권에 진입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기..
-
한국은행 이슈노트 「인구 및 노동 시장 구조를 고려한 취업자 수 추세 전망 및 시사점」 핵심 정리경제상식 소개 2025. 6. 17. 16:33
이번 편에서는 2025년 6월 17일 발간한 한국은행 이슈노트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한 취업자수 추세 전망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고용의 미래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취업자수 변화가 우리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들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고민하는 모든 분들께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1. 고용 트렌드 변화: 취업자수 추세와 평가 기준1-1. 취업자수 증가세의 둔화와 원인최근 우리나라의 취업자수는 증가세가 뚜렷하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2011~2015년에는 연평균 40만 명에 달했던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2016~2019년에는 1..